- 이 글을 보는 분들은 문득 이런 생각을 했을 수 있습니다. '아니 이걸 누가 틀려? 당연히 염치 불구하고 아니야?'
- 네 아닙니다. 우리가 흔히 쓰는 '염치 불구하고'란 말은 애초에 없는 단어입니다.
◎염치 불고하다.
반응형
- '염치를 돌아보지 아니하다'란 뜻입니다. 한 마디로 체념을 생각하지 않는단 의미입니다. 여기서 염치 불구가 아니냐고 하면 불고(不顧)는 한자어로 '돌아보지 않는다'는 의미여서 '염치 불구'가 아니라 염치 불고하다가 맞는 표현이 됩니다.
- 그렇다면 불구하다라는 표현은 아예 쓰이지 않나요?
- 그럼에도 불구하고
- 몸살에도 불구하고 출근하다.
- 이처럼 '불구하다'라는 동사가 있습니다. 이때 사용하는 '얽매여 거리끼지 아니하다'란 의미로 사용될 때에는 불구하다를 사용합니다.
- 하지만 '염치'와 함께 사용할 순 없는 것이죠!
- 예문)
- 염치 불고하고 너에게 부탁을 하겠다.
-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너를 좋아한다.
- 염치 불구하고 도움을 청합니다. (X)
- -오늘은 '염치 불고하고'와 '염치 불구하고' 중 맞는 표현을 찾아보았습니다. 꼭 기억할 것은 염치와 함께 사용하면 불고하다!가 이어진다는 점입니다.
- '설렘' VS '설레임' 옳은 표준어는 무엇일까? (tistory.com)
- 그렇다면 불구하다라는 표현은 아예 쓰이지 않나요?
'설렘' VS '설레임' 옳은 표준어는 무엇일까?
오늘도 어김없이 진행됩니다. MZ문해력 향상 프로젝트 시작합니다. 소개팅 전 상대방에게 가장 실망할 때는 언제일까요?? 바로 틀린 맞춤법을 아무렇지 않게 사용했을 때입니다. 그런 상황이 오
whatamidoingtoday.tistory.com
헷갈리는 표준어 모음 1편 - 자주 틀리는 외래어 (tistory.com)
반응형
'궁금한 지식 모음 > 문해력 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뒤치다꺼리 VS 뒤치닥거리' 뭐가 맞을까? - 올바른 표준어 쓰기 (0) | 2023.11.16 |
---|---|
'염두에 두다' VS '염두해 두다'? - 정답은 무엇일까? (0) | 2023.11.16 |
'설렘' VS '설레임' 옳은 표준어는 무엇일까? (0) | 2023.11.15 |
'로서' VS '로써' 완벽 구분하기 ! - 헷갈리는 맞춤법 (1) | 2023.11.14 |
'어줍잖다' VS '어쭙잖다' - 한국인 70%는 틀린다? (0) | 2023.11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