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안녕하세요 딴딴한 하루입니다. 세상에는 다양한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 많습니다. 블로그를 봐도 다재다능한 능력을 가진 블로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수 많은 정보가 담긴 글을 신뢰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있습니다. 바로 표준어를 올바르게 구사하는 일입니다.
- 오늘은 일상 생활에서 자주 쓰는 단어 중 헷갈리는 단어를 쉽게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◎ 되/돼
- '되'와 '돼'는 헷갈리기 쉬운 단어입니다.
- 자주 틀리는 '되와 돼'를 구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되를 '하'로 돼를 '해'로 바꿔서 사용해보는 것입니다.
- 예시 1
- 집으로 가도 되요?
- 집으로 가도 돼요?
- 두 문장에 위 공식을 넣어 구분하면 이렇게 된다. 하요는 말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해요가 되는 돼를 사용해야 한다.
집으로 가도 하요?(x) , 집으로 가도 해요?(o)
- 두 문장에 위 공식을 넣어 구분하면 이렇게 된다. 하요는 말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해요가 되는 돼를 사용해야 한다.
- 예시 2
- 그는 의사가 돼기로 결심했다.
- 그는 의사가 되기로 결심했다.
- 예시 3
- 그 음식은 먹어도 되나요?
- 그 음식은 먹어도 돼나요?
- 예시 4
- 그렇게 하면 정말 안 돼.
- 그렇게 하면 정말 안 되.
- 가장 많이 틀리는 예시는 안돼와 안되입니다. 이런 맞춤법은 이성과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의 호감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주의하여 사용하길 바랍니다. '안해/안하'를 봤을 때 안하는 없기 때문에 '안돼'가 맞습니다.
- 오늘은 자주 틀리는 되/돼의 구분 사용 예시를 알아봤습니다. 올바른 맞춤법은 그 사람의 신뢰를 높이는 방법이기 떄문에 꼭 숙지하여 사용하기 바랍니다. 실제 되와 돼의 사용은 용언과 결합할 때 조사와 결합 할 때 등 여러 상황에서 다르게 쓰입니다.
- - 복잡한 활용을 공부하여 구분하는 것보다 쉽게 되를 '하'로 돼를 '해'로 고쳐서 자연스러운 문장을 보고 선택하면 됩니다.
틀리면 부끄러운 맞춤법 - '든지'/'던지' 쉽게 구분하기 (tistory.com)
틀리면 부끄러운 맞춤법 - '든지'/'던지' 쉽게 구분하기
최근 친구들과 대화를 하다가 요즘 MZ세대의 맞춤법 문제가 심각하단 생각이 들었습니다. 우리 한글을 자기 멋대로 수정해서 쓰는 신조어까진 괜찮은데 일반적인 문해력 수준이 상당히 떨어지
whatamidoingtoday.tistory.com
반응형
'궁금한 지식 모음 > 문해력 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로서' VS '로써' 완벽 구분하기 ! - 헷갈리는 맞춤법 (1) | 2023.11.14 |
---|---|
'어줍잖다' VS '어쭙잖다' - 한국인 70%는 틀린다? (0) | 2023.11.14 |
'띠다' VS '띄다' 완벽 구분하기! - 자주 틀리는 맞춤법 (0) | 2023.11.13 |
왠지/웬지? 쉽지만 많이 틀리는 맞춤법 - 한 단어만 기억하라! (0) | 2023.11.13 |
틀리면 부끄러운 맞춤법 - '든지'/'던지' 쉽게 구분하기 (0) | 2023.11.12 |